맨위로가기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4선에 성공한 선거이다. 민주당은 루스벨트를, 공화당은 토머스 E. 듀이를 각각 후보로 지명했다. 루스벨트는 건강 악화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선거에서 승리했으나, 임기 중 사망하여 부통령이었던 해리 S. 트루먼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이번 선거는 미국 헌법 수정 제22조 통과 이전 4선에 도전한 마지막 선거였으며, 민주당이 남부 전체를 석권한 마지막 선거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미국 - 브레턴우즈 회의
    브레턴우즈 회의는 1944년 브레턴우즈에서 IMF와 IBRD 설립 협정을 체결하여 전후 세계 경제 질서의 기틀을 마련하고 조정 가능한 고정 환율 시스템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국제 경제 협력을 논의했으며, 국제 무역 기구 설립 제안은 미국의 비준 거부로 GATT로 대체되었다.
  • 1944년 미국 - 덤버턴오크스 회의
    덤버턴오크스 회의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국제 연합 창설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1944년 덤버턴 오크스에서 미국, 영국, 소련, 중국 대표들이 참가하여 국제 기구의 목표, 구조, 기능에 대한 잠정 합의를 도출하고 안전 보장 이사회 구성 및 거부권 문제를 다룬 국제 회의이다.
  • 1944년 11월 - 모로타이섬 전투
    모로타이섬 전투는 1944년 9월 연합군이 필리핀 진격을 위한 거점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 모로타이섬을 공격하여 시작되었으며, 압도적인 전력으로 섬을 점령하고 비행장을 건설하여 주요 군사 기지로 사용했다.
  • 1944년 11월 - 라플란드 전쟁
    라플란드 전쟁은 1944년 9월부터 1945년 4월까지 핀란드가 소련과의 휴전 협정 후 독일과의 관계가 단절되면서 핀란드 영토 내 독일군 철수 요구로 발발한 전쟁으로, 독일군의 지연 전술과 초토화 작전으로 라플란드 지역에 큰 피해를 초래했다.
  • 미국의 역사 (1918-1945)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마가렛 미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스칼렛 오하라와 레트 버틀러의 사랑, 타라 농장을 지키기 위한 스칼렛의 노력을 그린 역사 로맨스 작품이지만, 흑인 묘사와 남부 백인 중심 시각에 대한 논란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미국의 역사 (1918-1945) - 재즈 싱어
    《재즈 싱어》는 1927년 개봉한 미국 영화로, 칸토르의 아들이 재즈 가수가 되려는 이야기를 다루며, 앨 졸슨의 유성 연기와 블랙페이스 분장으로 유명하고 무성 영화 시대의 종말을 알린 작품이다.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선거 정보
선거 이름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국가미국
국기 연도1912년
선거 유형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1940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40년
다음 선거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48년
투표율55.9% ( 6.6%)
선거일1944년 11월 7일
후보 1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후보프랭클린 D. 루스벨트
소속 정당민주당 (미국)
기반 주뉴욕주
러닝 메이트해리 S. 트루먼
선거인단 투표수432
승리 주36
득표수25,612,916
득표율53.4%
후보 2
토머스 E. 듀이
토머스 E. 듀이
후보토머스 E. 듀이
소속 정당공화당 (미국)
기반 주뉴욕주
러닝 메이트존 W. 브리커
선거인단 투표수99
승리 주12
득표수22,017,929
득표율45.9%
지도 정보
대통령 선거 결과 지도
주별 획득 선거인 분포도 (루스벨트 승리 주: 파란색, 듀이 승리 주: 빨간색)
기타 정보
직책대통령
선거 전 대통령프랭클린 D. 루스벨트
선거 전 소속 정당민주당 (미국)
선거 후 대통령프랭클린 D. 루스벨트
선거 후 소속 정당민주당 (미국)
필요한 선거인단 수266명

2. 후보자 지명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후보 지명 과정은 민주당과 공화당 양쪽에서 흥미로운 양상을 보였다.

민주당에서는 현직 대통령인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전시 상황에서 높은 인기를 바탕으로 큰 반대 없이 재지명되었다. 당내 보수파는 루스벨트의 경제 및 사회 정책에 비판적이었으나, 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통령 후보 지명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28]

대통령 후보 지명 투표 결과
프랭클린 D. 루스벨트1086표
해리 F. 버드89표
제임스 A. 팔리1표



그러나 부통령 후보 지명을 둘러싸고는 당내 갈등이 있었다. 많은 대의원과 당 지도자들은 현직 부통령 헨리 A. 월리스가 너무 진보적이라며 반대했다. 이들은 해리 S. 트루먼 상원의원을 대안으로 제시했고, 루스벨트는 당의 단결을 위해 이를 수용했다. 결국 트루먼이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이는 루스벨트가 1945년 사망하면서 트루먼이 대통령직을 승계하게 되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결정이 되었다.[5]

부통령 후보 지명 투표 결과[29]
투표12 (조정 전)2 (조정 후)
해리 S. 트루먼319.5477.51,031
헨리 A. 월리스429.5473105
기타393189.57



루스벨트/트루먼 포스터


공화당에서는 웬델 윌키, 로버트 A. 태프트, 토머스 E. 듀이, 더글러스 맥아더, 해롤드 스태슨 등이 경쟁했다.[6] 태프트는 불출마를 선언하고 존 W. 브리커를 지지했다.[6] 맥아더는 현역 군인 신분으로 선거운동의 제약이 있었다. 듀이가 위스콘신 예비선거에서 승리하며 유력 후보로 떠올랐고, 결국 1944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듀이는 당내 보수파인 브리커를 러닝메이트로 선택했다.

전당대회 투표 결과
대통령부통령
토머스 E. 듀이1,056존 W. 브리커1,057
더글러스 맥아더1기권2


2. 1. 민주당

루스벨트는 전시 현직 대통령으로서 높은 인기를 누렸으며, 공개적인 반대는 거의 없었다. 민주당 내, 특히 남부에서는 보수파가 증가하고 루스벨트의 경제 및 사회 정책에 회의적인 사람들이 늘어났지만, 루스벨트에 반대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고, 쉽게 재지명되었다. 지명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28]

대통령 후보 지명 투표 결과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1086표
해리 F. 버드89표
제임스 A. 팔리1표



당내 보수파는 루스벨트의 재지명을 막을 수 없었지만, 대통령의 모습이 쇠약해 보였고 건강 문제 소문도 있었기에, 많은 대의원과 당 지도자들은 현직 부통령 헨리 A. 월리스에 강하게 반대했다. 월리스는 많은 보수파에게 대통령직을 계승할 가능성이 있는 인물로서 너무 좌익적이고 괴짜로 여겨졌다. 많은 당 지도자들이 월리스 지명에 반대했고, 미주리주 출신의 상원의원이자 상원 전시 조사 위원회 위원장으로 잘 알려진 중도파 해리 S. 트루먼을 새로운 부통령 후보로 제안했다. 루스벨트는 개인적으로 월리스를 선호했고 트루먼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했지만, 당의 단결을 위해 트루먼을 새 후보로 받아들이는 것을 주저했다. 그럼에도 많은 진보적 대의원들은 월리스를 지지하며 첫 번째 지명 투표에서 월리스에게 표를 던졌다. 그러나 북부, 중서부, 남부의 큰 주 대의원들이 두 번째 지명 투표에서 트루먼이 지명을 얻기에 충분한 표를 던졌다. 루스벨트의 건강이 악화되어 1945년 4월 사망했기 때문에 이 부통령 지명을 둘러싼 싸움은 역사적 의미가 커졌고, 트루먼은 미국의 제33대 대통령이 되었다.[5]

부통령 지명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29]

부통령 후보 지명 투표 결과
투표12 (조정 전)2 (조정 후)
해리 S. 트루먼 미주리주319.5477.51,031
헨리 A. 월리스 아이오와주429.5473105
존 H. 뱅크헤드 2세 앨라배마주9823.50
스콧 W. 루커스 일리노이주61580
앨번 W. 버클리 켄터키주49.5406
J. 멜빌 브로턴 노스캐롤라이나주43300
폴 V. 맥넛 인디애나주31281
프렌티스 쿠퍼 테네시주262626
기타118.5207



민주당 (미국)
1944년 민주당 후보
프랭클린 D. 루스벨트해리 S. 트루먼
'대통령 후보''부통령 후보'
200x200px
200x200px
제32대 미국 대통령
(1933–1945)
미국 상원의원 미주리주
(1935–1945)



획득한 대의원과 득표수 순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해리 F. 버드제임스 퍼즐리조지프 T. 퍼거슨프레드 H. 힐데브란트코델 헐폴 V. 맥넛
120x120px
130x130px
120x120px
136x136px
126x126px
120x120px
미국 대통령 뉴욕주 출신
(1933–1945)
미국 상원의원 버지니아주 출신
(1933–1965)
미국 우정총장 뉴욕주 출신
(1933–1940)
오하이오주 감사
(1936–1940)
미국 하원의원 사우스다코타주 출신
(1933–1939)
미국 국무장관 테네시주 출신
(1933–1944)
필리핀 고등판무관 인디애나주 출신
(1937–1939)
24,006 표
1,086명
109,000 표
89명
76,919 표
1명
0명0명0명0명


2. 2. 공화당

1944년 초, 공화당 대선 후보 지명을 위한 경쟁은 1940년 당 후보였던 웬델 윌키, 오하이오 출신 보수파 지도자인 상원의원 로버트 A. 태프트, 뉴욕 주지사 토머스 E. 듀이, 당시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 사령관으로 복무 중이던 장군 더글러스 맥아더, 전 미네소타 주지사 해롤드 스태슨 등이 치열하게 벌였다.[6] 태프트는 상원에 남고 싶어 대통령 출마를 포기한다고 발표하여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6] 대신 그는 오하이오의 동료 보수파 주지사인 존 W. 브리커를 지지했다.[6]

태프트가 경쟁에서 빠지면서 일부 공화당 보수파는 맥아더 장군을 지지했다. 그러나 맥아더는 연합군을 이끌고 일본과 싸우고 있었기 때문에 후보 지명을 위한 선거운동을 할 수 없어 그의 가능성은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그의 지지자들은 위스콘신 예비선거에 그의 이름을 올렸다. 듀이는 위스콘신 예비선거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큰 차이로 승리했다. 그는 해롤드 스태슨이 4명의 대의원을 얻은 데 비해 14명의 대의원을 확보했다. 맥아더는 나머지 3명의 대의원을 얻었다. 윌키는 위스콘신 예비선거에서 단 한 명의 대의원도 얻지 못하는 예상치 못한 부진으로 후보 지명 경쟁에서 철수했다. 1944년 10월 초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당시 윌키는 듀이나 루즈벨트 어느 쪽도 지지하지 않았다. 시카고에서 열린 1944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듀이는 브리커를 가볍게 누르고 1차 투표에서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온건에서 진보 성향의 공화당원인 듀이는 보수파인 브리커를 러닝메이트로 선택했다. 듀이는 원래 동료 진보파인 캘리포니아 주지사 얼 워렌을 선호했지만, 당의 단결을 위해 브리커를 선택했다 (워렌은 1948년 선거에서 듀이와 함께 출마하게 된다). 브리커는 만장일치로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전당대회 투표 결과
대통령부통령
토머스 E. 듀이1,056존 W. 브리커1,057
더글러스 맥아더1기권2


3. 본선

공화당은 뉴딜 정책에 반대하며 작은 정부와 규제 완화를 주장하는 선거 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루스벨트의 인기는 여전했고, 이것이 선거의 주요 쟁점이 되었다.[11] 루스벨트는 건강 악화설에도 불구하고 10월에 활발한 선거 운동을 전개하며, 오픈카를 타고 시내 거리를 다녔다.

선거 운동의 정점은 루스벨트가 노동조합 지도자 모임에서 한 연설이었다. 이 연설은 라디오로 전국에 방송되었는데, 루스벨트는 공화당이 자신의 행정부를 부패와 세금 낭비로 비난하는 것에 대해 재치 있게 반박했다. 특히 알래스카 유세에서 잃어버렸던 애완견 스코티시 테리어 팔라를 데려오기 위해 미국 해군 구축함을 파견했다는 주장에 대해 "팔라가 그런 소문에 화가 났다"고 농담하며 일축했다.[18] 이 연설은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큰 웃음과 박수를 받았다.[17]

이에 듀이는 오클라호마시티에서 라디오 연설을 통해 루스벨트가 대도시 민주당 조직과 미국 공산당을 부패시키는 데 "필수불가결한" 존재라고 비난하고, 루스벨트 내각 각료들을 "뒤죽박죽 승무원"이라고 폄하했다.[19] 그러나 파리 해방과 레이테 만 해전 등 유럽과 태평양 전선에서 미국의 승리가 이어지면서 루스벨트의 우세는 확고해졌다.[20]

한편, 듀이는 진주만 공격 이전에 미국 정보 당국이 일본의 암호를 해독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나, 전쟁 중이라는 이유로 이를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는 비화가 있다.

여론조사 집계 범례
style="background-color:#3333FF; width:3px;" |프랭클린 D. 루즈벨트
style="background-color:#E81B23; width:3px;" |토머스 E. 듀이
style="background-color:Silver; width:3px;" |무응답



여론조사 기관조사 시행일표본 크기프랭클린 D. 루즈벨트토머스 E. 듀이기타무응답격차 (퍼센트포인트)
선거 결과1944년 11월 7일53.4%45.9%0.7%-7.5
포춘[7]1944년 11월 5일50.9%44.1%-5.0%~7
갤럽 여론조사1944년 11월 3일3,085 (A)46.5%45.6%0.4%7.6%0.9
포춘[8]1944년 10월 20일??-?7.0
갤럽 여론조사1944년 10월 17일2,404 (A)47.8%42.5%0.3%9.5%5.2
갤럽 여론조사1944년 10월 12일2,743 (A)46.1%43.1%0.4%10.3%3.0
갤럽 여론조사1944년 10월 6일2,616 (A)48.6%40.0%0.3%11.1%8.6
갤럽 여론조사1944년 10월 3일2,601 (A)44.2%44.4%0.4%9.8%0.2
갤럽 여론조사1944년 9월 20일2,988 (A)47.0%43.2%-9.8%3.9
갤럽 여론조사1944년 9월 14일2,917 (A)48.6%40.7%0.7%10.1%7.8
포춘[9]49.3%44.4%-6.3%4.9
갤럽 여론조사1944년 9월 6일615 (A)44.6%34.6%-20.8%9.9
갤럽 여론조사1944년 8월 29일3,021 (A)46.4%42.3%-11.3%4.1
갤럽 여론조사1944년 8월 16일1,171 (A)48.8%38.2%-13.1%10.6
포춘[10]52.5%43.9%-3.6%8.6
갤럽 여론조사1944년 8월 1일1,231 (A)46.8%41.7%-11.5%5.1
포춘[8]1944년 7월 20일50.8%42.2%-7.0%8.6
갤럽 여론조사1944년 7월 18일3,020 (A)49.5%41.0%-9.6%8.5
갤럽 여론조사1944년 6월 20일2,910 (A)51.0%43.5%-5.5%7.5
갤럽 여론조사1944년 6월 7일2,718 (A)50.6%45.1%-4.3%5.4
갤럽 여론조사1944년 5월 23일3,009 (A)50.3%44.7%-5.0%5.6
갤럽 여론조사1944년 5월 9일2,631 (A)51.2%42.9%-5.9%8.3
갤럽 여론조사1944년 4월 25일1,566 (A)48.0%46.2%-5.8%1.9
갤럽 여론조사1944년 3월 29일2,982 (A)51.2%41.2%-7.6%10.1
갤럽 여론조사1944년 3월 15일1,400 (A)53.4%42.4%-4.2%11.0
갤럽 여론조사1944년 3월 1일1,643 (A)53.1%42.2%-4.7%11.0
갤럽 여론조사1944년 2월 1일2,980 (A)48.8%44.6%-6.6%4.2
갤럽 여론조사1944년 1월 4일3,006 (A)54.3%37.3%-8.4%17.0
갤럽 여론조사1943년 11월 9일3,026 (A)53.9%39.9%-6.2%14.0
갤럽 여론조사1943년 10월 26일2,918 (A)48.5%43.4%-8.1%5.1
갤럽 여론조사1943년 9월 14일2,645 (A)58.0%33.7%-8.3%24.3
갤럽 여론조사1943년 7월 7일3,033 (A)52.3%38.3%-9.5%14.0
갤럽 여론조사1943년 6월 2일1,442 (A)51.9%40.2%-7.9%11.8
갤럽 여론조사1943년 5월 12일1,497 (A)47.1%36.3%-16.6%10.8
갤럽 여론조사1943년 4월 27일1,486 (A)51.6%36.8%-11.6%14.7
갤럽 여론조사1943년 1월 7일2,808 (A)49.7%32.7%-17.6%17.0
갤럽 여론조사1942년 12월 15일1,380 (A)41.1%35.8%-23.1%5.3


3. 1. 선거 결과

출신 주정당득표수득표율선거인단 득표수부통령 후보자
출신 주선거인단 득표수프랭클린 D. 루스벨트
뉴욕주민주당25,612,91653.4%432해리 S. 트루먼
미주리주432토머스 E. 듀이
뉴욕주공화당22,017,92945.9%99존 W. 브릭커
오하이오주99지명없음텍사스 레귤러스135,4390.3%0지명없음0노먼 토마스
뉴욕주미국 사회당79,0170.2%0달링턴 후프스
펜실베이니아주0클로드 왓슨
캘리포니아주금주당74,7580.2%0앤드루 존슨
캔터키주0기타-57,0040.1%0-0합계47,977,063531-531선출필요수266-266



선거인단프랭클린 루스벨트
(민주당)
토머스 듀이
(공화당)
기타 후보전체
득표수득표율선거인단득표수득표율선거인단득표수득표율
네바다329,62354.62%324,61145.38%---54,234
네브래스카6233,24641.42%-329,88058.58%6--563,126
노스다코타4100,14445.48%-118,53553.84%41,4920.68%220,171
노스캐롤라이나14527,39966.71%14263,15533.29%---790,554
뉴멕시코481,38953.47%470,68846.44%-1480.10%152,225
뉴욕473,304,23852.31%472,987,64747.30%-24,9050.39%6,316,790
뉴저지16987,87450.31%16961,33548.95%-14,5520.74%1,963,761
뉴햄프셔4119,66352.11%4109,91647.87%-460.02%54,234
전체25,602,50553.31%43222,006,27845.82%99416,9010.87%73,026,831


4. 선거의 의의 및 영향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여러 중요한 의미와 영향을 남겼다. 이 선거는 전쟁 중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현직 대통령인 루스벨트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대부분의 미국 유권자들은 전쟁 수행과 전후 복구라는 중대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지도부를 신뢰했다.[22]

선거 결과, 루스벨트는 432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해 99명에 그친 공화당 후보 듀이를 크게 따돌렸다. 득표율에서도 루스벨트는 53.4%로 45.9%를 얻은 듀이보다 앞섰다.[21] 듀이는 라디오 연설로 패배를 인정했지만, 루스벨트에게 직접 축하 인사를 전하지는 않았다. 루스벨트는 듀이에게 감사를 표하는 짧은 전보를 보냈다.[21]

이로써 루스벨트는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4번 대통령에 당선된 인물이 되었다. 이후 미국은 헌법을 수정해 대통령 임기를 2선으로 제한했다.

듀이는 이전의 어떤 공화당 후보보다 루스벨트를 상대로 선전했다. 루스벨트의 득표율과 득표 차는 1940년보다 줄었다. 듀이는 와이오밍, 위스콘신, 오하이오 주에서, 루스벨트는 미시간 주에서 승리했다. 듀이는 1948년 대선에 다시 도전했지만, 트루먼에게 패했다.[23]

뉴욕 주에서는 민주당 외에 미국 노동당과 자유당의 지지로 루스벨트가 승리했다. 텍사스 주에서는 루스벨트에 반대하는 민주당 세력이 독자 후보를 내는 등 남부에서 루스벨트에 대한 반감이 커짐을 보여주었다.[25]

4. 1. 미국 내 영향

루스벨트의 4선 성공은 미국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21] 이는 이후 미국 헌법 수정 제22조를 통해 대통령 임기를 2선으로 제한하는 계기가 되었다.[21]

이 선거는 민주당이 남부 연합의 모든 주와 남부 지역 전체에서 승리한 가장 최근의 대통령 선거였다.[21] 1944년 텍사스에서는 루스벨트에 반대하여 투표했지만 공화당 후보에게 투표하지 않은 유권자가 135,553명에 달했다. 이는 1944년 5월 23일과 9월 12일에 열린 두 차례의 주 당대회에서 민주당이 분열된 결과였다. 루스벨트 대통령의 재선에 반대하는 민주당원들은 "공산주의 뉴딜에 의해 파괴된 주권의 회복"과 "백인 인종의 우월성 회복"을 촉구했다.[25] 이후 남부 지역에서 공화당의 세력이 확대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1944년 선거는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까지 뉴햄프셔주와 오리건주가 민주당에 투표한 마지막 선거였고,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까지 코네티컷주, 델라웨어주, 메릴랜드주, 미시간주, 뉴저지주, 뉴욕주, 펜실베이니아주가 민주당에 투표한 마지막 선거였다.

4. 2. 한국에 대한 영향

루스벨트 대통령의 재선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재미 한인 사회에 큰 희망을 안겨주었다. 루스벨트는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으며, 이는 전후 한국 독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30] 하지만, 루스벨트의 갑작스러운 사망과 트루먼 행정부의 정책 변화는 한국 현대사에 복잡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미국과 소련의 갈등 심화, 그리고 트루먼 대통령의 한국전쟁 참전 결정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트루먼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과 대립하며 그를 해임하는 등, 복잡한 정치적, 군사적 결정을 내려야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Voter Turnout in Presidential Elections http://www.presidenc[...] UC Santa Barbara
[2] 서적 FDR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3] 서적 Man of the People: A Life of Harry S. Truman
[4] 간행물 The Progressive Democrats in Chicago, July 1944
[5] 서적 Final Victory: FDR's Extraordinary World War II Presidential Campaign
[6] 서적 The Papers of Robert A. Taft: 1939-1944
[7] 뉴스 Roosevelt Is Favored In Final Fortune Poll http://timesmachine.[...]
[8] 뉴스 FORTUNE POLL GIVES EDGE TO ROOSEVELT http://timesmachine.[...]
[9] 뉴스 Sharp Drop in Popularity of Roosevelt Sequel to Liberation of Paris, Poll Finds http://timesmachine.[...]
[10] 뉴스 ROOSEVELT GAINS IN FORTUNE'S POLL; Re-election Is Found Favored by 52.5%, Against 43.9% for Governor Dewey http://timesmachine.[...]
[11] 서적 FDR, Dewey, and the Election of 1944
[12] 문서 Acorn Hall's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Registration Form https://www.nj.gov/d[...]
[13] 뉴스 History http://www.lorrainea[...] 2015-07-26
[14] 웹사이트 Let's Re-Re-Re-Elect Roosevelt-5075 https://www.legacyam[...] 2022-08-10
[15] 서적 American History in Song: Lyrics from 1900 to 1945 https://books.google[...] Authors Choice Press 2001
[16] 웹사이트 Morristown National Historical Park Museum and Library: Acorn Hall Book Promotes Morristown History Beyond Washington http://morristownnhp[...] 2015-07-30
[17] 서적 Franklin Delano Roosevelt
[18] 서적 Final Victory
[19] 서적 FDR, Dewey and the Election of 1944
[20] 웹사이트 On this day: Term limits for American Presidents https://constitution[...] 2023-02-27
[21] 웹사이트 No modern presidential candidate has refused to concede. Here's why that matters. https://www.national[...] 2020-11-08
[22] 서적 FDR, Dewey and the Election of 1944
[23] 웹사이트 Franklin D. Roosevelt: Campaigns and Elections https://millercenter[...] 2016-10-04
[24] 서적 Political Parties In American History, Volume 3, 1890-present G. P. Putnam's Sons 1974
[25] 서적 Cowboy Conservatism and the Rise of the Modern Right
[26] 웹사이트 1944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Data - National http://uselectionatl[...]
[27] 웹사이트 Voter Turnout in Presidential Elections http://www.presidenc[...]
[28] 뉴스 For the Fourth Time http://www.time.com/[...]
[29] 서적 Convention Decisions and Voting Records The Brookings Institution
[30] 웹사이트 1944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Data - National http://uselectionat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